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22년 코로나 이후 베트남 내 한국 및 한국상품 인식 조사 2022.07.07 |
---|
|
코로나 이후 베트남 내 한국 및 한국상품 인식 조사
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
1. 조사배경 ㅇ 한국-베트남 수교(1992.12.22) 후 지난 30년 동안 양국 간 교역액은 약 163배 성장 * 한-베 교역액 : (1992년) 493백만불 ⇒ (2021년) 80,695백만불 · 2021년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국이자, 6위 수입국으로 한국 수출의 8.8%, 수입의 3.9%를 각각 차지 ㅇ 2018년 ‘베트남 내 한국상품 이미지 조사’를 시행한 바 있으며, 최근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베트남인의 ‘한국’ 및 ‘한국상품’에 대한 인식 변화여부를 파악
2. 조사목적 ㅇ 베트남인 대상 ‘한국’ 및 ‘한국상품’에 대한 인식 조사 · ①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, ②한국상품 이미지, ③한국상품 경쟁력, ④한국상품 구매경험, ⑤한국상품 구매의사 및 유망품목을 심층적*으로 분석 * 구매형태별(소비자/바이어), 연령별(18~29세/30~39세/40~49세/50~59세 등), 성별(남/여) 등 ㅇ 또한, 2018년 조사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인식 변화여부를 파악
ㅇ 이를 통해 베트남 시장에 이미 진출해 있거나 향후 진출을 검토하는 우리 수출기업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 3. 조사대상 및 방법 ㅇ 조사대상 : 베트남 거주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ㅇ 조사방법 :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 조사 ㅇ 표 본 수 : 956명 ㅇ 조사기간 : 2022년 5월 18일 ~ 6월 9일*(약 3주) * 2022년 베트남 한국상품전 기간(6/2~5, SECC) 중 내방객 대상 설문조사 시행 □ 보고서 요약 ㅇ (국가브랜드 및 이미지) 최근 코로나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베트남인의 ‘한국’에 대한 브랜드이미지는 ‘더욱 강화’(52.4%)되었으며, 이는 ①한국 콘텐츠의 확산, ②방역 및 국가 신뢰 이미지 강화, ③한국 기업의 발전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, 한편 ‘한국상품’(90.2%) 및 ‘한국기업’(78.2%)의 호감도는 높은 편이나 ‘한국인’(56.6%)에 대한 호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음 ㅇ (한국상품 이미지) 베트남인 90% 이상이 ‘인터넷 및 SNS’를 통해 한국상품의 정보를 습득하고 있으며, 한국상품의 이미지로 ‘우수한 품질’(39.7%)과 ‘세련된 디자인’(31.8%)을 꼽음, 한편, 한국상품의 ‘디자인’(92.2%)과 ‘품질’(85.0%)에 대한 만족도는 높으나 ‘가격’(47.5%)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, 하지만 2018년 조사와 비교하여 ‘가격’을 포함한 한국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상승 ㅇ (한국상품 경쟁력) 베트남에서 한국상품의 경쟁력은 더욱 강해지고 있으며 경쟁국으로는 ‘일본’을 가장 많이 지목, 2018년 조사에서 1위 경쟁국이었던 ‘중국’은 금번 ‘3위’로 밀려남, 한편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상품은 ‘품질’ 및 ‘디자인’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‘가격’ 경쟁력은 여전히 부족 ㅇ (한국상품 구매경험) 베트남인 10명 중 9명이 한국상품 구매경험이 있으며 ‘화장품·식품·전자제품’을 주로 구매, 온라인 및 오프라인 유통채널 모두 활발하게 사용하며 2018년 조사와 비교 시에는 오프라인 구매비중(43.0%→49.2%)이 증가 ㅇ (한국상품 구매의사) 응답자의 절대 다수(93.8%)가 한국상품 구매의사가 있으며, 구매사유로는 한국제품의 ‘품질’(59.9%)을 지목, 한편 앞으로도 한국 ‘화장품·식품·전자제품·건강식품·유아용품’ 등에 대한 구매의사가 높은 것으로 분석 ㅇ (수출유망품목 전망) 향후 베트남 시장에 유망한 수출품목으로는 ‘화장품’(50.7%), ‘전자제품’(38.9%), ‘식품’(32.2%) 등으로 응답, 하지만 소비자는 ‘화장품-식품-전자제품’을, 바이어는 ‘전자제품-건강식품-화장품’으로 답변하여 유망품목에 대한 전망이 다소 엇갈림 ㅇ (주요 시사점) 베트남 소비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MZ세대를 겨낭한 시장진출전략 수립, 온·오프라인 유통채널의 활용, 주요제품의 對일본 경쟁력 확보방안 수립, 수출유망품목 경쟁력 확보 및 유사상품 대비 등이 필요
※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|